유치원교사 취업 방법을 알아보자



2019년도 기준으로 교육부와 시, 도 교육청에서는 유,초등교사 모집인원을 늘리겠다는 공고를 발표했었는데요~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고시 신규 선발 규모는 1018명으로 전년 선발 인원보다는 줄어들었지만 사전에 예고했던 인원의 2배 수준이었답니다.
유치원의 학급수가 늘어나며 교직원 선발 비중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으로 유치원 교사가 되기 위해서 준비를 시작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어요!
오늘은 유치원교사 취업 에 필요한 조건과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유치원교사 조건
유치원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 설치되어있는 유아교육과를 졸업했거나 소정의 보육과 교직학점 이수, 유아교육 석사학위를 취득해야 하는데요~
관련학과를 졸업하지 못 했거나 대학원 입학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학점은행제라는 제도를 활용, 대학원 입학조건을 갖춰 석사학위를 준비할 수 있답니다.
정교사 자격증
정교사 자격증의 사전적 의미는 유치원이나 학교 등 교육 기관에서 정식으로 근무 할 수 있는 자격을 주기 위해서 교육부 장관이 수여하는 자격증인데요?
유치원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정규 대학에서 전공 과목 및 교직 과목을 이수, 해당 자격증을 취득해야만 한답니다.
정교사2급과 1급 과정 차이

정교사 자격증은 1급과 2급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두 가지가 다른 점은 어떤 것일까요?
우선 정교사 2급의 경우 유아교육과 졸업, 교직과목 이수, 석사학위 과정(유아교육대학원 양성과정)을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된답니다.
하지만 1급의 경우 경력이 필수 사항인데요~ 석사학위 소지자는 1년이상의 경력, 정교사 2급만 소지했을 경우에는 3년이상 경력+재교육 이수가 조건이랍니다.
이 때, 1급 취득 시 달라지는 것이 있는지, 크게 다른 점이 없지 않은지 생각하시기도 하는데요!
1급 취득 후 3년 이상의 경력+재교육이면 원장 자격에 필요한 원감 자격을 갖출 수 있답니다. 2급 취득 후에도 원감 자격 준비가 가능하지만 경력이 6년 이상+재교육을 이수해야 한다는 사실!
자격증 취득 경로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학력 조건을 준비 할 수 있는 경로는 정규 대학교, 방통대학교, 사이버대학교, 학점은행제 등으로 볼 수 있는데요~
2급에서 1급으로 승급하는 기간이 불규칙하고, 교육 대기자가 많아 사실 상 바로 승급하는 것이 어려워 석사학위 취득을 통해 바로 승급을 준비하는 분들도 있답니다.
해서 가장 많이 준비하는 방법이 유아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인데요?
교육대학원 진학을 위해서는 관련 전공의 학사학위가 필요해 아래의 방법을 이용해 준비한답니다.
일반 정규대학교

어떻게 보면 가장 많은 사람들이 준비하는 방법으로 애초에 유치원 취업을 진로로 정한 사람들은 애초에 전문대 혹은 4년제 유교과를 선택한답니다.
대학 입시 정보 포털 사이트를 참고해보면 일반 4년제 중에서는 신한대학교, 안양대학교가 경쟁률이 높은 편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요~
전문대 유아교육과 중에서는 김포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등의 취업률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답니다. 대학교 입학은 수시, 정시, 편입학 등의 방법으로 지원 할 수 있답니다.
방통대, 사이버대학교
방통대학교, 사이버대학교는 온라인으로 과정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규 대학에 출석하며 과정을 진행할 수 없는 분들이 많이 활용하는 방법인데요~
사이버대학교의 경우 아동학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해 대학원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방식이랍니다.
하지만 방통대학교의 경우 유아교육과 2학년으로 편입 후 교직과목을 이수하는 방식으로 유치원 정교사 2급 취득이 가능한데요?
석사 학위를 희망한다면 유아교육대학원 재교육 과정을 통해 1급 취득을 준비해주면 된답니다.
취업 전망?
대다수의 분들이 유치원교사 취업 을 위해 과정을 시작하지만 자격증을 취득해도 취업에 실패하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 취업률 및 전망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로 작용하게 될텐데요?
유치원교사가 부족하다고 하지만 실제 취업률 및 전망은 어떻게 되는지, 급여는 어떻게 정해져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려 한답니다.
취업률

유치원교사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취업률은 굉장히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데요!
국가 지표 중 유아교육 규모에서 교원수를 살펴보면 그 수가 2010년도부터 꾸준하게 증가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급여

일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급여가 아닐까 하는데요? 2020년도 기준 교원 호봉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답니다.
유치원정교사 준비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스터디어스 게시판을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