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제 전기공학전공, 고졸/비전공자 전기학과 졸업장 만드는 법


안녕하세요, 스터디어스입니다.
우리의 일상생활과 떼어 놓기 어려운 전기분야, 경기가 안 좋은 시점에서도 사실 이렇게 전문직 분야는 취업과 재취업이 어렵지 않아 인기가 많습니다.
실제로 기계꽁학과, 화학공학과와 함께 전화기라 칭해지는 전기공학과는 공대 취업률 중에서도 본좌급이라고 합니다. 떠도는 가설로는 학점이 3.0 이상이던 2.5 이상이던 기사자격증과 공인영어 성적이 좋으면 취업을 걱정안해도 된다고 할 정도로 말이죠.
그래서 현장에 계신분들부터 고졸인데 취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자격증 취득과 함께 전기공학 학위를 많이들 취득하고자 준비합니다.
다만 공학계열 특성상 실기나 실습이 많다보니 특히 현재 일을 하고 계신 분들은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으실텐데요.
하지만, 이 과정을 온라인상에서 그리고 빠른 기간 안에 해결할 수 있다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바로, 학점은행제라는 교육제도를 활용하면 실무능력도 잡으면서 학위취득까지 좀 더 편하게 진행가능하십니다.
그렇다면 학점은행제란 어떤 제도이기에 많은 분들이 전기공학 전공의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걸까요?
학점은행제 전기공학전공, 고졸/비전공자 전기학과 졸업장

우선, 학점은행제란 제도가 생소하신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학점은행제란 고등학교를 졸업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온라인교육제도’ 입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했지만 대학교에 갈 수 있는 상황적 여유가 되지 않는 분들도 있기에 국민 평생 학습권을 보장해주고자 만들어진 학점은행제는 조금 더 쉽게 공부해서 학력 조건을 만들 수 있는 교육제도라고 생각하시면 좀 더 편하실텐데요?
‘학점’이라는 수단을 통해 요구하는 일정 학점 이상을 모으면 2년제,4년제 학위 및 각종 자격을 취득할 수 있고 취득한 학위는 법적으로 일반 대학 졸업장과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기관련 학위도 학점은행제 ‘표준교육과정’(학과)에 따라 2년제 전문학사, 그리고 4년제 학사학위 과정을 진행 가능한 것이랍니다ㅎㅎ
그렇다면 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기준만큼의 학점을 모아야 하는데, 이는 어떤 방법으롬 모을 수 있을까요?
학점은행제 전기공학전공 졸업장 만드는 방법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는 6가지가 있는데 ‘평가인정학습과정’을 필두로 ‘자격증’. ‘시간제수업’, ‘전적대학점’, ‘독학사’, ‘중요무형문화재’가 있습니다.
첫 번째, 평가 인정 학습과정은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대학에서 우리가 수업을 통해 졸업 자격을 만들 듯이 수업을 통해 들은 과목수만큼 학점을 인정받는 것인데요.
온라인과 오프라인 평생교육원이 존재하고 온라인으로 진행시에는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제약이 적고 일반 대학 교과과정보다 쉽게 편성되어 있어 접근하기가 편해 직장과의 병행이나 학업과의 병행도 가능해 큰 어려움없이 과정을 마칩니다.
전기분야 또한 필요한 경우엔 오프라인수업까지 진행할 수도 있기에 이는 학생 상황별로 계획이 달라진다고 생각하면 되세요.
두 번째, 자격증입니다. 두번째로 많이 활용하는 방식인데, 평가 인정 학습과정이 한 학기, 두 학기 기준으로 들을 수 있는 학점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자격증을 활용해 기간을 단축시킵니다
세 번째, 시간제 수업입니다. 사이버대학에 필요한 과목만 신청하는 것을 시간제 수업이라고 하며 특수전공에 한해 많이 활용하죠.(전기분야는 전공의 경우 시간제 수업이 같이 진행됩니다)
네 번째, 전적 대 학점입니다. 전에 대학교를 다녔었거나 학점을 보유하고 있으면 그 학점을 활용할 수 있으며 다섯 번째는 독학사로 대학 버전 검정고시로 시험을 통해 학점을 취득하는 겁니다.
이렇게 수업을 기본으로 하지만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이 추가적으로 많기에 조금 더 빠르고 쉽게 학위를 취득할 수 있어요.
그리고 자격증까지 취득하게 되면 실무능력이 조금 더 유리해지겠죠. 그렇다면 평균적으로 학위를 취득하는데 기간이 어느 정도 걸릴까요?
전기공학과 졸업장 준비기간

학위를 학점은행제로 만드는 기간은 엄밀히 말해 개인의 최종학력이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최종학력이 고졸인 경우에 2년제 졸업장을 만드는 데는 평균적으로 1년~1년 6개월 정도 걸리며 4년제 졸업장을 만들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2년~2년 6개월 정도 걸립니다. 이외에 대학을 이미 졸업했거나 보유한 학점이 있는 경우에는 개인이 보유한 학점이나 과에 따라 기간이 달라져요.
그래서 내가 가진 학위를 어딘가에 활용하고자 정확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를 통해 나만의 기간을 확인해봐야 합니다.
학점은행제의 경우 학습자의 상황과 과정에 따라 플랜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첫 시작 전에 전문가와 함께 올바른 방향을 잡는 것이 너무나도 중요한데요?
다만, 과정이 처음인만큼 누구와 어떤 과정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도 되고, 어떤 방향으로 시작해야 할지 몰라 머리 아파하시는 분들이 실제로 많으세요.
내가 진행하는 과정에 따라 과정을 수월하게 마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지는 만큼, 스터디어스는 개별적인 상황이나 목표에 맞춘 학습설계부터 성적관리까지 체계적인 시스템 하에 관리해드리고 있으니 궁금하시다면 아래 스터디어스로 문의주시면 됩니다.
1:1 개별적인 상담을 도와드리고 있으며, 상담은 비용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니 편하게 연락주셔서, 궁금하신 점들을 해소하시길 바랄게요!
[ 함께보면 좋은 칼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