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술자 경력수첩, 고졸 무경력자도 준비할 수 있는 꿀팁!


안녕하세요. 스터디어스입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1초라도 없어서는 안되는 에너지인 전기.
현재는 물론이며 앞으로도 전기에너지가 필요하게 될 분야는 점점 늘어나고 있어 관련 분야에 대한 전망은 상당히 밝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여기서 조금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보면 전기공사업무에는 시공, 설계를 하는 기술직과 근무자들의 안전을 관리하면서 해당 공사를 총괄하는 관리직이 있습니다.
당연히 현장에서 근무하는 기술직보다 그 공사 자체의 사업을 책임지는 관리직의 연봉이 더 높기 때문에 전기분야 근무자는 관리직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이 없어 빠르게 알아보실 분들이라면 스터디어스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아래에서는 관련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전기분야 관리자직업
관리자직업은 전기 안전관리자, 현장대리인 등 다양한 단어로 불리지만 정확한 명칭은 전기감리기술자입니다.
전기감리기술자는 전기 시공시 제대로 진행중인지를 감시 및 관리하는 역할로 현장소장과 시공관리책임자(현장대리인)을 만나 시공방향을 협의하고 발주처에 보고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위처럼 만족도가 높은 직업 통계의 TOP 20 중 5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수행직무만족도의 경우 1위를 달리고 있죠.
무엇보다 ‘전기’라는 에너지원이 주요 에너지원인만큼 현재에나 미래에나 앞으로의 전망은 밝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등급의 경력수첩이 필요합니다.
전기공사기술자 경력수첩

전기공사기술자 경력수첩은 학력, 경력, 자격을 인정받고 일정한 등급의 경력수첩을 발급받게 되는 경력관리제도를 의미합니다.

전기공사업에 업체를 등록할 때 전기공사업 등록기준에 기술인력을 보유해야 한다는 조건이 정해져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전기공사협회에 들어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력수첩의 등급기준
경력수첩의 등급을 올리기 위해서는 관련학과, 경력, 자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알 수 있는 것은 관련분야의 학위 혹은 경력으로만 준비하는 것보다 산업기사, 기사라는 관련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여 준비하는 것이 조금 더 효율적이라는 점.
필요한 경력도 다른 조건들과 확연하게 차이나며, 높은 등급의 경력수첩에는 기술자격이 무조건적으로 필요합니다.

초급과 중급 경력수첩의 경우 일정한 제한이 필요하며, 고급과 특급부턴 일정한 자격없이 모든 전기공사에서 관리업무를 담당할 수 있게 됩니다.
여기까지 읽었다면 이제는 산업기사 or 기사 자격증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을 터.
경력수첩 조건 갖추는 방법

전기분야의 가장 기본적인 산업기사 자격증인 전기산업기사의 응시자격입니다.

전기기사의 응시자격 역시 전기산업기사와 유사하죠.
관련학과의 전문대학 혹은 대학을 졸업하거나 실무경력이 필요합니다.
국가기술자격인만큼 위의 응시자격이 갖춰지지 않았다면 시험을 볼 수 없게 되는데, 이때 학점은행제(https://studius.kr/산업기사-기사-자격증/)라는 온라인 교육제도를 활용한다면 관련 분야의 학위와 경력이 준비되지 않더라도 수월하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