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전문대학원 입학조건 모집요강 확인 및 준비 방법.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전문대학원에 들어가기 위한 입학조건을 확인하고, 완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는 최근 ‘건축물 정기점검 책임자과정’을 개설하는 등 안전 관리에 대한 책임, 필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점검실무와 관련해 교육을 받게 하고 있지만 건축사의 경우 건축사법에 따라 교육 과정을 면제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건축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건축대학원 과정을 이수해야 해서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고, 그 외 교수직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답니다.
하지만 대학원의 경우 학교에서 지정해둔 일정 조건을 충족시켜야 입학 할 수 있기에 그 지원자격과 완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건축전문대학원 입학조건

건축대학원에 입학하기 위한 조건은 석사학위과정, 박사학위과정으로 나뉘어집니다.
먼저 석사학위과정의 경우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로 제한되고 있습니다.
또한, 학사 과정에서의 출신 학과. 전공과 무관하게 지원 할 수 있지만 학교에 따라 5년제 건축과 졸업생만 받는 경우도 있고, 지정 교과목을 추가로 이수해야 하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박사학위과정의 경우 국내.외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받은 자로 제한되고 있답니다.
지원자격을 갖춘 후 서류심사, 포트폴리오, 심층면접에 의해 합격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이죠.
해당 지원자격과 전형 방법은 건국대 건축대학원 모집요강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니 희망하는 다른 학교가 있다면 해당 학교의 모집요강을 꼭 살펴봐야 합니다.
추가로 원하는 전공에 맞는 대학원은 어떤 학교들이 있는지는 해당 링크 를 통해 확인 가능해요!
이렇게 석사 과정을 마친 후 학위를 취득하면 박사 과정까지 지원 가능한것이랍니다.
건축대학원 지원자격 완성방법
이러한 건축전문대학원 입학조건을 완성하는 방법으로는 첫 번째, 정규 대학에 개설되어있는 건축 전공 혹은 다른 전공으로 입학, 4년 혹은 5년 과정을 이수, 졸업 후 지원하는 것이다.
보통 대학의 경우 고교 내신, 수능 성적을 활용해 지원하기에 직장인의 경우 일을 그만두지 않으면 도전할 수 없다는 것이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한다.
다음으로 두 번째 방법은 사이버대학교, 방통대학교와 같은 온라인 대학제도를 활용해 동일하게 4년 과정을 이수, 졸업 후 지원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방법은 학점은행제라는 교육부 주관 제도를 활용하는 방법이랍니다.
이는 온라인 과정으로 진행되는 방식에 앞서 얘기한 두 가지 방법에 비해 보다 빠르고, 수월하게 4년제 졸업 학력을 갖추는 것이 가능합니다.
단, 학점은행제로 준비해 지원할 경우 받아주지 않는 학교도 있으니 지원 시 주의해야 합니다.
건축대학원 경쟁률 및 충원율
대학교를 지원하든 대학원에 지원하든 경쟁률은 언제나 신경이 쓰일 수 밖에 없는 부분인데요?
건축대학원의 경우 2014년도부터 봤을 때, 석사 과정의 경우 지원자 경쟁률은 1.2~1.3 정도를 보이다 2019년도에는 1.83으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기서 대학원 지명도 및 지원자의 선호도를 가늠할 수 있는 신입생 충원율은 석사과정에서는 2015년부터는 쭉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도 함께 알 수 있답니다.

위의 표를 통해 석사 과정의 경우 정원과 지원자 둘 다 적은 편으로 석사 과정에 비해 경쟁률과 충원율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건축전문대학원 입학조건을 준비하는 과정을 알아보았지만 각자의 상황에 따라 지원자격을 갖추는 과정부터 기간, 방법까지 모두 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 과정 등 시작하는 것이 걱정된다면 스터디어스 상담센터를 통해 궁금하거나 헷갈리는 부분에 대해 정확한 내용을 확인해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