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조무사 차별대우 어느 정도 인가?
반갑습니다 스터디어스입니다!
간호조무사 차별에 대한 문제는 예전부터 쭉 지속되어 왔습니다. 병원에서 간호사와의 차별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뉴스에서도 이 일을 심각하게 다룬 적이 몇 번 있었죠.
작년 11월 같은 경우에는 여의도 국회 앞에서 대한간호조무사협쇠(이하 간무협) 창립 후 최대 규모의 결의대회가 개최되기도 했습니다. 전국에서 1만 명이 모여, 차별 철폐, 법정단체 인정 촉구를 표하기도 했었죠.
그렇다면 그 차별이라 주장하는 내용이 과연 어떤 내용이며, 어느 정도의 이야기인 걸까요. 오늘 한 번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간호조무사 차별대우
병원에는 간호사 분들도 존재하고, 간호조무사 분들도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각 직업간의 갈등이 벌어지고 있으며, 그 정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죠. 이때 조무사 분들은 고졸, 학원 출신 꼬리표가 따라다니며, ‘간호’자를 빼고 조무사라고만 명할 것을 요구 받고 있다 말씀하시고 있죠.
병원에서는 분명 주요 간호인력으로 활동을 하지만 두명 중 한 명이 현재 최저임금 수준을 받는 것이 간호조무사들의 현실이라 할 수 있죠.

위 이미지와 같이 신규 초임은 1000 후반에서 2000 초반대의 연봉을 받고 있습니다. 분명 굉장히 적음 임금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에 비해 하는 업무는 많고 고되고요. 그렇기에 간호조무사 분들 중 간호사로 아예 직업을 바꾸시려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답니다.
간호사의 직업 전망은?
이와 비교해 간호사의 직업 전망은 밝은 것이 사실입니다. 되려 더욱 밝아지고 있는 것이 현 추세이죠. 병원에서 간호사의 업무 부담이 많고, 인력수가 부족한 상황이라 채용하려는 인원을 대폭 늘려놓고 있는 상황이랍니다.

위 자료는 2017년 자료입니다. 물론 3년이 지난 시점이지만 심각한 수준이죠. 간호사 인원이 현저히 부족하며 이를 위해 간호대학도 새로 개편되고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간호사를 발굴해 내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한 것이죠.
직업적인 안정감은 원래 뛰어난 직업이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간호사 면허증 취득이 좀처럼 쉽지 않다는 데에 있죠. 그 면허증은 어떻게 취득할 수 있는 걸까요?
간호사 면허증 취득방법
간호사 면허증은 국가고시를 통해 합격한 인원만이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국가고시 시험에 응시자격이 존재하고 있죠.

사실 국가고시 자체의 난이도가 어려운 편은 아닙니다. 문제는 간호 국가고시 시험의 자격조건을 맞추기가 어려운 것이죠. 그 자격조건은 위와 같습니다. 즉 간호대학교를 졸업해야 시험을 볼 수 있는 것이죠.
다만 간호학과 대학교 같은 경우는 커트라인 기준이 워낙 높습니다. 경쟁률도 심하죠. 그런 만큼 최근에는 학사편입이나, 유턴입학과 같은 다른 방안들을 활용하여 대학의 문을 두드리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랍니다. 이에 대해 궁금한 분들은 여기를 통해 수능이나 내신이 아닌 새로운 입학전형을 확인해 가시기 바랍니다.
글을 마치면서
간호조무사 분들이 주장하는 차별대우가 마냥 말도 안 되는 이야기 만은 아닙니다. 다만 문제는 우리나라 사회가 그런 모습을 결코 해결해주고 있지 않다는 것이겠죠.
우리가 직접 개선해나가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또한 이러한 일들이 벌어지는 원인에는 간호사 인력수가 너무 부족하여 생기는 스트레스로 인한 갈등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되려 이번 계기로 간호사를 준비하는 조무사 분들도 많아지시고 있는데, 보다 쉽게 준비하는 방법들이 궁금하다면 상담센터에 자세히 이야기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