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자격요건 걱정할게 뭐 있나요?


산업안전기사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수가
필기시험 기준
15년 20,981명, 16년 23,322명, 17년 25,088명, 18년 27,018명에 이어
2019년, 33,287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실기시험도 마찬가지로
15년 9,692명, 16년 12,135명, 17년 16,019명, 18년 15,755명에 이어
2019년, 20,704명으로 대폭 증가했는데,
자격취득 후 적용가능한 분야가 기본적으로 넓기 때문에
기존에도 응시자 수가 많은 자격이었지만,
19년도에 응시자 수가 상승 곡선의 각도가 더 가파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산업안전기사 자격요건 갖추려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이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어떤 [전제조건이 수반되어야 자격시험에 응시]를 할 수 있을까.


먼저 알아야 할 것은 ‘산업안전기사란 무엇인가’.
산업안전기사의 사전적 정의는 이렇다.
‘산업현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고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생산성 향상에 주력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기술인력’
조금 더 정의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서 산업현장에서의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한 자격
이라고 풀어볼 수 있다.
그러면 산업안전기사 자격이 점점 응시자수가 많아지는 이유는 뭘까,
그 이유는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함께 변해가는
‘사람들의 인식’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실상 약 4~5년전만 하더라도 안전을 이야기하면서도
‘무슨 방법을 써서든 빠른’ 업무를 최고로 쳐줬지만,
2012년 구미 불산누출사고, 2018년 모 기업에서의 질소 질식사고 등
인명피해가 초래된 큰 사고들로 인해
생명의 존엄성부터 기업의 인식 등을 고려한 기업들에서
점차 안전의식을 강조하기 시작하게 되었고,
그 결과 산업현장에서 ‘안전’ 이 대세로 자리매김하니
트렌드에 따라 산업안전기사 자격이 기본자격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산업안전기사 자격 하나만으로 꽃길을 걸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적용범위가 넓은 축에 속하는 자격이긴 하지만,
취업은 대부분 제조업체등의 안전관리자로 하는 편이고,
실질적인 자격의 적용은 서포트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다행인것은 안전관리자로서의 취업률이 높은편에 속하는데,
대표적으로 가평군에서 실시한 [ 4050 위험물 안전관리자 과정의 49명 중 38명이 관련분야 취업 ]이 되어
78%의 높은 취업률을 보인 사례가 있다.

이러한 산업안전기사 자격취득을 위해서는
필요한 것, 알아야 하는 것들이 있다.
메인으로는 시험을 어디에서 주관해서 실시가 되고 있느냐 인데,
산업안전기사 의 경우에는 [ 한국산업인력공단 ] 에서 주관한다.
참고로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명이 큐넷(Q-net) 이다.

산업안전기사 시험은 타 종목의 기사시험에 비해 비교적 쉬운 편에 속한다.
산업안전 종목의 자격도은 기능사, 기술사, 기능장 등이 없이 산업기사 와 기사만 있는데
두 자격시험 시험내용을 비교했을 때 기사가 산업기사에 비해 필기만 한과목 추가되고,
실기는 심지어 산업기사가 더 어렵게 느껴지는 케이스도 있다는 후문.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기사보다 기사 자격이 더 상위자격이다보니
당연스럽게도 자격증 공부할 인터넷 강의 또는 책을 구매할 때
자연스럽게 기사 과정에 손이 갈 수밖에 없다.

이제 중요한 것은 시험 전, 갖춰져야 하는 조건이다.
다수의 안전을 책임지고 담당하는 자격이다보니
단순히 시험을 응시하는데에도 공부를 통해 지식을 습득했거나,
경력으로 현장경험을 인정받아야 시험 응시가 가능하다.
대학교에서 관련학과로 졸업 또는 마지막 학년을 다니고 있거나
경력의 경우에는 단순 일용직 등으로 쌓은 경력은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4대보험에 가입되어있어서 인정받을 수 있는
4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갖고 있는 경우에만 시험을 치를 자격이 된다.
대표적인 두 가지 조건 외에는 동종분야 기사자격을 갖고 있거나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기능사 + 3년 / 산업기사 + 1년 조건을 갖춘 경우에 시험조건이 충족되고,
가장 편리한 방법은 학점은행제도 온라인 과정을 통해 106학점을 이수해서 응시조건을 갖추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조건들이 어떻게 보면 까다롭다 느낄 수도 있지만,
국가기술자격증이기 때문에 충분한 자격이 되어야 하는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산업안전기사는 타 종목의 기사자격 대비 난이도가 낮은 편인데,
취득후에 연계지어서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많다.
다만 관련학과나 전공, 경력이라는 제한으로 인해 고민중이라면,
[ 스터디어스의 튜터링 ]을 통해 해결해보자.
- 산업안전기사 학점은행제 비학력자도 최단기 응시자격 맞추려면?
- 산업안전기사 응시자격 고졸 단기간 완성반
- 산업안전기사 응시조건 고졸, 비전공자의 최단기 학습플랜!
- 산업안전기사 응시자격 대졸자는 어떻게?
- 산업안전관리자 자격증, 학점은행제로 응시자격 완성해보아요
[ 함께보면 좋은 칼럼 ]
학점은행제 기사 인기글 확인하기
–산업안전기사 학점은행제
–대기환경기사 응시자격
–소방설비기사 학점은행제
–산림기사 학점은행제
–토목기사 학점은행제
–나무의사 응시자격
–건축기사 응시자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