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제의 장점은 최단기간으로 학위취득을 할 수 있다는 점인데요? 이유는 학점인정제도인 자격증, 독학사, 전적대 등이 있기 때문이죠.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바로 학점인정자격증인데요? 오늘 제가 준비한 글은 바로 심리학 학점인정자격증 관련한 글입니다.^^
[심리학 관련 학점인정자격증]
1. 직업상담사 1, 2급
직업상담사는 청년과 재취업하려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직업 정보를 제공, 적성검사를 통한 구직자의 흥미 분야 안내 업무를 한다. 직업상담사는 주 직무에 따라 취업 전문 강사, 커리어 컨설턴트, 잡 매칭 컨설턴트 등으로 나뉘며 최근 대학교, 특성화고에서 취업지원부 교사로 활동하기도 한다. 이 자격증의 경우 심리학 과정 자격증 중 유일하게 응시자격이 까다롭지 않은 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난이도가 낮지는 않아 공부를 요하는 자격증이기도하다.
1급 이수학점 - 45학점
2급 이수학점 - 20학점
2. 청소년상담사1, 2, 3급
청소년상담사는 청소년을 보호·선도하고 건전한 생활을 지도하며 수련활동의 여건을 조성하고 장려 및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청소년단체를 육성하고 그 활동을 지원하며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에게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고 유해환경을 정화하는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청소년상담사 취득을 위해서는 정해진 응시자격이 있다.
3급(20학점)
1) 상담전공 학사학위 이상
2) 상담전공 2년제 + 경력 2년
3) 타전공 4년제 +경력 2년
4) 타전공 2년제 + 경력 4년
5) 고졸 5년
2급(30학점)
1) 상담전공 석사
2) 상담전공 학사 +경력3년
3) 3급 자격증 + 경력2년
1급(45학점)
1) 상담 전공 박사
2) 상담 전공 석사 + 경력4년
3) 2급 자격증 + 경력3년
3. 임상심리사
국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고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상담을 통한 치료·재활을 담당할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해짐에 따라 신설되었다. 주요 업무내용은 임상심리학적 지식을 활용한 심리평가(심리검사)·심리치료상담·심리재활·심리교육·심리자문 등이다. 이 또한 응시자격을 가지고 있다.
2급(20학점)
학사학위 이상 + 임상심리 실습수련 1년 이상
1급(30학점)
석사학위 이상 + 임상심리 실습수련 2년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