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사 응시자격 비전공자는 어떻게?



글로벌, 세계화라는 말에 걸맞게 여행객이 늘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수출, 수입 등 물적인 교류 또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많은 사람을 태우기도 하고, 중요한 물건들을 운송하기도 하는 항공 기체는 우리가 아는
비행기뿐만 아니라 헬리콥터, 경비행기 등 다양하게 운행되고 있는데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항공기 운항 사고에 동력장치, 착륙장치, 조종장치, 유압 시스템 등을 점검, 파손 및 부식상태 점검 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때, 항공기의 기종마다 활용되는 기술이 다르게 적용돼 새로운 기술, 지식도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습득을 필요로 하고 있죠.
오늘은 이러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제정된 항공기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공기사 응시자격
그렇다면 항공기사의 응시자격은 어떻게 될까?
항공기사 또한 다른 기사 자격증과 크게 다를 것 없이 관련학과 4년제 졸업(예정)자, 관련 실무 경력 순수 4년 이상, 동일(유사)분야의 기술 자격 소지+경력자로 나뉘어집니다.

여기서 다른 기사 자격증과 다른 점을 찾아보자면 꼭 항공대학, 항공 관련학과를 졸업하지 않았다 해도 국내 민간 항공사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것으로 자격 준비가 가능하죠.
그 예로는 사내정비직업훈련원, 항공관련 직업훈련기관, 사설 항공정비학원 등이 있답니다.
그 외에도 동일직무분야에 해당하는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전자 등의 전공을 통해서도 관련학과 졸업(예정)자 조건을 갖출 수 있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로서 응시자격을 갖추려면 산업기사의 경우 경력 1년 이상, 기능사의 경우 3년 이상이 함께 필요하다는 점!
항공기사 자격 완성방법
보통 대학을 졸업하거나 경력을 쌓는 방법으로 응시자격을 준비하지만 대학에 갈 수 없는 상황이거나 관련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은 어떻게 준비할 수 있을까?
항공기사 응시자격을 완성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뉘어 볼 수 있을텐데요!
첫 번째로는 관련학과로 편입학 하는 방법, 다음으로는 관련 경력을 쌓는 방법, 마지막으로 온라인 제도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세 번째 온라인 제도를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학점은행제 타전공 제도를 활용, 관련학과 및 동일직무분야 전공을 이수해 자격을 완성하는 것인데요.
경력으로 준비할 경우 4대 보험에 가입되어야 하고, 경력을 인정받아야만 응시자격으로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수월한 과정으로 준비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답니다.
항공기사 합격률
항공기사 응시자격을 알아봤으니 합격률에 대해 살펴볼까 하는데요!
1974년도에 신설된 항공기사는 지난 10년 간 아래와 같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답니다.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 다른 기사 자격증에 비해 응시자 수 자체가 적은 편이며, 합격률도 낮은 편에 속하고 있는데요~
합격률이 낮기 때문에 사실상 응시하는 사람이 적지만 그만큼 합격 시 우대 사항이 된답니다.
다른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다, 응시자격, 시험 일정이 궁금하다면 Q-NET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데요~
응시자격을 갖추는 과정이 궁금하다면 스터디어스 상담센터를 활용해보도록 해요!
학점은행제 기사 인기글 확인하기
–산업안전기사 학점은행제
–대기환경기사 응시자격
–소방설비기사 학점은행제
–산림기사 학점은행제
–토목기사 학점은행제
–나무의사 응시자격
–건축기사 응시자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