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it취업 필수 자격증 취득으로 준비하기


로봇, 인공지능 등 첨단기기로 인해 취업자 수가 줄어들고 있지만, 이면에서는 기존의 직업을 버리고 발 빠르게
새로 생겨나는 직업으로 업무를 전환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미국 정보기술 전문매체 ‘매셔블(Mashable)’ 지는
IT 분야에서 고액 연봉으로 인재를 끌어들이고 있는 10개 직종을 선정했는데 대부분 스마트폰 등 인터넷과 연결된 정보기기들과 연관된 직종들이다.

현재 시대의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으니 당연히 직업을 선택하면서 발전 가능성이 높고
그만큼 전망이 좋은 IT 취업을 선택하는 것이다.

즉 인류변화의 흐름에 맞게 직업을 선택하라는 말이 되는 데 그렇다면 고졸 it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으로 준비해야 할까?
IT 취업을 위한 자격조건
새로운 분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을
준비해야 할까?
다양한 조건과 자격이 있겠지만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가고자 하는 분야의 전공학력이다.
또한, 그 분야 실무에서 근무할 수 있는 업무능력을 증명하기 위한 자격증 또한,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고졸의 경우 학력조건과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밖에 없는데
알고 있다시피 우리나라 대학등록금은 한 학기 300만원 에서400만원을 웃도는 수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놓여 있는 고졸 취준생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가 있는데 바로 학점은행제 라는 제도가 있다.
학점은행제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대학학위를 취득하고
고졸 it취업에 필수적인 요소인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 기사와 같은 국가고시를 보는 응시자격까지
갖춰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고졸 it 취업을 위한 자격증의 응시자격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산업기사, 기사 응시자격
고졸 it취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처리 산업기사, 기사 자격증이 있다.
이 자격증은 전문성을 인증할 수 있는 자격증인
만큼 일정 응시자격을 갖춰야만 시험을 볼 수 있는데

1. 정보처리 산업기사
-관련 전공 2년제 이상 학위소지자
-해당 분야 2년 이상의 경력자
-학점은행제 41학점 이수자

2. 정보처리기사
-관련 전공 4년제 이상 학위소지자
-해당 분야 4년 이상의 경력자
– 학점은행제 106학점 이수자
이렇게 응시자격이 나뉘어 있다. 이 응시자격 들은
위해서 언급한 것과 같이 당장 대학학위를
취득하기 힘든 고졸 취준생들에게는 높은 벽으로
비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응시자격 또한 학점은행제 컴퓨터계열의
전공으로 단기간에 학위와 응시자격을 갖추는 것이
가능하니 너무 낙담하지는 말길

시험 일정은 산업기사, 기사 모두 1년에 3회 정도
실시하니 학점은행제로 응시자격을 갖추면서
함께 준비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럼 다음 학점은행제라는 제도를 이용해서 자격증 응시 자격 과정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취업조건 갖추는 방법
학점은행제라는 제도를 이용해서 고졸 it 취업을
실현하게 할 수 있는 조건들을 갖출 수 있다고 했는데
학력 + 국가시험응시자격 = 학점은행제
학점은행제는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에서 수업을 듣고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직접출석을 하는 행위와
같이 시간을 뺏기는 일이 없다.
학력과 자격취득 후 활용
이 모든 과정을 이수한 경우 어떤 분야로 취업을
할 수 있을까?
– 기업체
소프트웨어, 게임, 모바일, 웹 개발업체, 홈페이지 구축 업체, 영상물 제작업체, 애니메이션 관련 업체, 웹프로그래밍 업체 ,금융기관, 보험사, 병원 등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 를 시행하는 업체
-연구소
정보통신 관련 민간 • 국가연구소
– 정부 및 공공기관
컴퓨터 관련직 공무원, 정보통신부의 별정우체국 사무장 , 사무주임, 사무보조 등 사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두 가지 자격을 모두 갖춘 경우 한국뿐만 아니 다른 국가에서도 인정을 받을 수 있는데 취업비자를 발급받아
일본 IT 취업을 노려볼 수도 있다.
각박한 취업세계에서 고졸의 학력으로 자신 스스로의
가능성을 못 본체 진로를 결정하지 못 한자들 이라면
새로운 도전을 통해 현시대를 선도하는 IT기술의
전문가로 도약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