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 학과제 바뀌기전에 고졸이 준비를 해야할 것은?


안녕하세요! 전문학습설계팀 스터디어스입니다.
예전부터 보육교사 학과제를 도입한다는 내용이 나왔었지만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22년도부터 학과제를 도입한다고 하여,
지금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걱정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그래서 지금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지
걱정되는 마음에 인터넷에 검색하고 계실겁니다.
현재 보육교사 자격증은 아이를 좋아 했던 분들이나
재취업을 준비했던 주부님들께서 준비했던 것으로,
지금 당장 학과제를 도입하게 된다면 이 자격증을
취득하기엔 상황이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2년도 학과제를 통해 도입되기전에
지금부터 준비를 해두시는 것이 필요한 상황인데요?
과연 어떤 방법으로 보육교사 자격증을
준비할 수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보육교사 자격증은 어떻게 취득하는 게 좋을까요?

먼저 보육교사2급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선
2가지의 조건을 충족해야만 합니다.
이때 필요한 조건으로는
1) 보육관련 전공17과목 이수
2) 전공17과목을 이수한 전문학사학위 수여자
이렇게 2가지의 조건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이때의 조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지정된
17과목을 이수한 다음 학위까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보통은 대학교에서 준비를 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의 대학교를 가는 것이 말도 안되는 상황이기에
학과제를 도입하기전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해 하실텐데요?
저는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보육교사 학과제 도입전에 학점은행제로?

제가 오늘 알려드릴 학점은행제는 고등학교 졸업자라면
누구나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학습제도를 말합니다.
이런 학점은행제는 교육부에서 대학제도를 통해서
전공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학점제를 통해 과목을 이수하게 된다면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요?
그래서 일정 학점이 쌓이게 되었을때는 교육부장관명의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되면서 대학교졸업자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수업을 포함한 과제 그리고 시험까지
모든 과정은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평소에 바빠서 따로 수업을 듣지 못했던 분들도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편하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
게다가 학점인정 자격증, 독학사, 전적대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학위수여 기간도 단축가능하죠!
보육교사 학점은행제로 수업을 듣게 될때는?

이렇게 학점은행제로 수업을 듣게 됐을 경우엔
전공 17과목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게 될까요?
가장 먼저 총 17과목은 이론8과목 + 대면8과목
+ 실습1과목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것을 학점은행제로 듣게 된다면 이론과목은
온라인으로 듣게 되며 대면과목은 동일하게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지만 1회 출석하는 과정이 들어가 있어요!
그리고 나머지 실습과목의 경우 보통의 수업방식과 함께
보육실습과정이 섞여지는 것으로 정해진 시간만큼
실습봉사를 진행해야 이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런 보육실습의 경우 굉장희 까다롭기 때문에
학점은행제를 통해 준비를 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요?
과연 이럴때는 어떤 방식으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육교사 학과제 도입전에 스터디어스와 함께 편하게 준비해요!

오늘은 보육교사 학과제 도입하기 전
학점은행제로 준비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학점은행제는 온라인과정과 높지 않는 난이도로
보다 편하게 준비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가장 중요한건 보육실습을 어떻게 받아야만 하는지
걱정되고 막막한 상황이라 느껴지실겁니다.
간단하게 휴대폰으로 검색을 해보아도 원하지 않는 평생교육원이나
갑작스런 ‘노년의 인생살기’, ‘노인을 위한 종이접기 교실’ 등등
이상하고 관련 없는 것을 배울 수 있는 곳만 있으실텐데요?
이런 상황 속에서 어렵게 걱정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서
보다 편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스터디어스가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항상 걱정되고 고민이 많았던 상황이라면 언제든지
스터디어스에게 문의를 주시면 상황에 맞춰서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
언젠가 다시 만나는 그날까지 전문학습설계팀 스터디어스 였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칼럼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