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산업기사 응시자격 상승곡선의 이유?


최근들어 자동차에 관련된 이슈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
TV프로그램에서는 연예인들이 SUV, RV차량을 활용한
이른바 ‘차박’을 하는 모습들이 방송되고 있고
SUV, RV 차량들이 성능과 가격에 대한 변신을 하며
이제는 세단의 판매량을 앞지르고 있다.
스웨덴의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인 볼보는
지금까지 약 16년이라는 세월 동안
여러 큰 사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커리어도 있는데,
이러한 여러 소식들로 인해 늘어나는 차량판매에 발맞춰
차량점검과 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격시험 ] 의 응시자 수도 상승곡선을 만들어 냈다.

다양한 산업기사의 종목 중에 꾸준히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이 자격이 제정된 사전적 이유는 이러하다.
자동차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운행되는 자동차 수가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공학분야에 관한 기술지식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차정비업무를 수행할 전문기능인력.
가끔 뉴스에서 들려오는 차량용어로
‘리콜’ 이라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데,
이 리콜의 원인인 차량결함의 원인을 찾아내고 정비하는 것 이다.
이러한 업무를 하는 자동차정비 국가기술자격은
숙련기능에 따라 단계가 나뉘어지고 있는데
가장 기초적인 자격부터 자동차정비기능사,
기능사부터 한 층씩 높은 숙련기능자는 순서대로
자동차정비산업기사 / 자동차정비기사 / 자동차정비기능장
이라고 분류되고 있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응시자격 으로는
대표적으로 학력 또는 경력으로 조건을 갖출 수 있는데,
관련학과의 전문대졸업 또는 졸업예정 이상의 학력이나
해당 계열에서의 인정받는 2년이상의 경력이 필요하다.
추가적인 시험의 조건은
- 1) 같은 분야이거나 유사한 분야의 타 종목 산업기사 소지자,
- 2) 기능사 취득 이후 경력 1년자,
- 3) 자동차정비분야의 외국자격취득자,
- 4)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 5)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 또는 이수예정자
들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준비하기가 가장 유용한 분야는
학력을 소지하거나 경력을 채우는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추가적으로 기능장의 경우 해당 자격의 최고 기술자를 의미하는데
학력의 경우 학력만으로는 불가능하고, 기능사 또는 산업기사 취득 후
기능대학의 기능장과정을 이수해야하고,
순수 경력으로는 9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해당 자격 취득자 중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자동차 명장으로는
박병일 명장이 있다.

다음으로 자동차정비산업기사의 시험에 대해 알아보자.
자동차정비산업기사의 시험일정의 경우
2020년에는 코로나19 로 인해 일정변동이 있었지만
변동이 되지 않았다면 1회, 2회, 3회차 시험으로 진행 될 예정이었다.
시험과정에서 필기시험의 경우
①일반기계공학 ②자동차엔진 ③자동차섀시 ④자동차전기
4개 과목을 4지선다 객관식으로 과목당 20문항씩 풀게 되고,
시험시간은 과목당 30분씩 주어진다.
실기시험은 자동차정비 실무작업을 검정하게 되는데
실무작업형으로 약 6시간정도 시험을 치르게 된다.

2014년 ~ 2018년 필기시험의 응시자/합격자의 통계이고

실기시험의 응시자/합격자의 통계는 이렇다.
시험 응시자/합격자 통계를 보았을 때 알 수 있는것이 있다.
해당 자격시험은 필기시험 준비가 핵심이라는 사실이다.
실제로 자동차정비산업기사는 필기시험이 어렵기로 유명하고,
시험준비의 간단한 팁은 연도별 기출문제를 풀어보는것도 있지만
몇 년 단위로 출제유형이 변경되기 때문에
기출문제 외의 이론적인 지식을 습득해두라는것이
직접 시험응시를 했던 수험자의 후문이다.

필기 합격률이 산업기사 치고 낮은 편에 속하는 자격임에도 불구하고
산업기사 중에서 응시자 수가 굉장히 많은 축에 속하는 자격이다.
따라서 이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실무도 중요하지만
이론적인 내용에 대한 습득이 굉장히 중요하고,
준비기간과 공부시간에 대한 투자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 스터디어스의 튜터링 ] 을 통해 응시자격을 갖추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시험준비를 하는 것이 합격의 가장 빠른 방법이 되겠다.
[ 함께보면 좋은 칼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