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수첩 등급 고졸, 무경력자가 효율적으로 준비하려면?


안녕하세요. 스터디어스입니다.
건설분야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보면 현장에 투입되어 직접적인 일을 하기보단 공사현장을 총괄하고
책임지며 근무자들의 안전을 관리하는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공사현장의 전반적인 부분을 도맡는 직업이기에 연봉이 상당하며, 공사규모에 맞는 관리자가 선임되어야만
법적인 책임과 벌금없이 마무리할 수 있기에 필수 인력이죠.
본인이 근무하는 분야의 관리자 직급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정 등급의 경력수첩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학력, 자격, 경력 등 다양한 부분에서 준비가 필요합니다.
관리자 직급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분야는 정말 다양하며, 이에 맞는 관리자 직급이 하나 이상은 꼭 존재합니다.
분야를 조금 크게 나누면 시공 및 설계 / 품질관리 / 건설사업관리 세 분야로 나게 됩니다.
각각의 분야 모두 지속적으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에 취업하였을 경우 근속연수가 쌓일수록 연봉이 점진적으로 상승합니다.
무엇보다 근무강도가 현장직에 비해 훨씬 낮아 업무만족도가 높으니 해당 직급을 마다할 이유도 없죠.
경력수첩 등급
건설기술인의 전문기술과 직무역량을 판단하는 제도인 경력관리제도로써 흔히 경력수첩이라는 단어로 불립니다.
2013년 안전관리가 중요해짐에 따라 건설관련 진흥법이 개정되면서 위에 나온 이미지 안의
직급을 위해서는 일정 등급의 경력수첩을 가지고 있어야만 선임될 수 있죠.

여기서 말하는 역량지수란 학력, 경력, 자격 세 가지 분야로 나눠지며 각각의 분야에
맞는 조건을 충족하면 점수를 얻게 되고, 이 점수를 합산하여 역량지수가 오르는 방식입니다.
자격지수

각 분야에 맞는 국가기술자격증에 따라 일정 점수를 받게 되며, 동일한 분야의 국가자격증이 둘 이상일 경우 높은 자격종목의 배점을 따릅니다.

산업기사 응시자격

기사 응시자격
대부분의 산업기사, 기사 응시자격으로 관련자격 소지가가 아닌 이상 관련 분야의 학위 또는 경력을 위해 2년~4년 정도 준비가 필요합니다.
학력지수

자격지수와 마찬가지로 각 분야에 맞는 학위를 취득하고 점수를 배점받으며
석사 학위는 1.5점, 박사 학위는 3점이 추가되지만 별로 크지 않은 점수이기에 학사 취득에서 멈추는 편.
해당 분야의 커리어를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학력을 갖추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대학 진학이라는 부담감 때문에 자격지수와 경력만으로 경력수첩 등급 올리려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그럴 필요없이 학점은행제라는 온라인 교육제도를 활용한다면 대학을 다니지 않고도
학력을 갖출 수 있으며, 자격증 응시자격 또한 쉽고 빠르게 갖추는 것이 가능합니다.

해당 제도를 활용하여 고졸, 무경력자가 초급 수첩을 준비한다면 전문학사 학위와 함께 산업기사 자격증을 따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
걸리는 기간은 1년~1년 반 남짓이며 학력과 자격지수를 동시에 올릴 수 있고 해당 분야에 지속적으로 근무하면서 준비할 수 있어 세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 셈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스터디어스의 도움을 받아 확실하게 준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산업안전기사 학점은행제 비학력자도 최단기 응시자격 맞추려면?
- 건설인협회 등급, 점수가 부족하다면?!
- 한국건설기술인협회 역량지수 취득 후 등급 승급!
- 학점은행제 대학원 지원자격 준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