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교육대학원 입학 조건 준비하는 방법은?


최근 교촌치킨에서 굿네이버스와 함께 행복채움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학대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 치료를 지원했다는 기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일반 기업에서도 심리 치료를 지원 할 정도로 마음의 상처를 받은 사람들은 이를 어떻게 치유하는지가 굉장히 중요하게 작용하게 되는데요?
피해아동 외에도 학교 밖 청소년, 학교 내 학생들의 정서지원 등 다양한 상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전문 상담사가 필요하지만, 그 인원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하죠.

대표적인 예를 들어보자면 학교에서 이뤄지는 상담 참여수가 증가하며 전문상담교사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식사 시간, 쉬는 시간도 없이 일하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에서는 많은 선발인원을 책정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인원을 채용하고 있으니 자연스레 취업을 준비하고자 하는 분들도 생겨나게 되지만 일정 자격이 필요하기에 오늘은 그 조건을 먼저 알아보려 합니다.
상담심리교육대학원 입학 조건

먼저 상담교사로 근무하기 위해서는 전문상담교사2급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이 때, 자격증은 대학에서 관련 전공으로 교직 과목을 이수하거나, 교육대학원의 상담심리 전공, 양성과정을 통해 취득 할 수 있는데요.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는 사람들은 4년제 학사학위가 필요, 지원 전공과 학부 전공이 동일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자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즉, 상담심리교육대학원의 경우 심리학, 상담학과 같은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해야 하는것이죠.
관련 전공의 학사학위 취득 후 일정 경력을 채운 경우에도 교육대학원에 지원 할 수 있는 조건에 해당하게 됩니다.
지원 후에는 면접, 필답고사, 전공이론 시험 등 학교별 전형요소에 맞춰 입시 절차를 통과하면 대학원에 입학할 수 있는 것이랍니다.
상담심리교육대학원 입학 조건 완성방법

상담심리교육대학원 입학 조건인 학사학위를 취득 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정규 대학교 심리학과에 입학, 대학 과정을 이수 후 지원하는 방법
둘, 사이버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상담, 심리학과 입학, 4년 과정 이수 후 지원하는 방법
셋, 학점은행제 제도를 활용, 기준 학점을 이수해 학사학위 취득 후 지원하는 방법
정규 대학 진학을 생각 중이라면 대학 어디가 홈페이지를 활용해 심리학과 개설 대학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들을 통해 꼭 정규 대학교에 입학하지 않아도 온라인 과정을 통해 상담심리교육대학원지원자격을 갖출 수 있음을 알 수 있죠.
마지막 학점은행제를 활용한 방법은 온라인으로 기준 학점을 이수하는 방식으로 일반 대학교 보다 빠르게 준비 할 수 있으니 빠른 과정을 원한다면 적절한 방법일 것입니다.
추가로 지원자격을 준비 할 때에는 지원에 필요한 선이수 과목을 대학 과정 중 이수해야 하는데, 이는 학교별로 다르기에 사전 확인은 필수로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지원자격 외에도 학업계획서, 자기소개서, 면접, 필답고사 등 추가 요소들을 준비해야 하는데 면접이나 필답고사는 보통 전공 지식을 보고자 하는 곳이 많으니 참고하자.
상담심리교육대학원 지원 시기

입학 조건을 완성했다면 지원만 남은 상태인데, 대학원의 경우 지원시기가 크게 두 시기로 나뉘어집니다.
첫 번째로는 3월에 입학하는 전기 입학인데 지원은 보통 10월~11월쯤 진행되고 있고, 두 번째로는 9월에 입학하는 후기 입학으로 5~6월쯤 지원하는 방식이에요.
보통의 대학들은 전기를 우선으로 모집, 인원이 충원되지 않았을 경우 추가 모집의 개념으로 후기 모집을 진행하는 곳들이 많습니다.
주기적으로 후기 모집을 진행하는 학교도 있으니 지원을 희망하는 학교가 있다면 모집 일정을 다시 한 번 체크해보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이렇게 지원자격부터 완성 방법, 지원 시기까지 알아보았지만 정작 어떻게 준비를 시작해야 할지 몰라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이 계실겁니다.
대학에 갈 수 없는 상황, 등록금 부담, 기간적인 부담 등 개인의 이유로 혹은 방법을 몰라서, 진행 방법을 봐도 헷갈려서 망설이는 사람도 있을테죠.
과정 시작이 막막하게만 느껴지거나 어떤 것부터 준비해야 할지 헷갈려서, 어렵게 느껴져서 준비를 망설이고 있다면 스터디어스 상담센터를 통해 도움을 받아 준비해보도록 하자.